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포장방스터디
- 자바
- 백준자바 #백준10718
- 컴퓨터공부
- 화이자백신후기
- 2739자바
- 자바화면구현
- 화이자미열
- 1일1로그
- 자바공부
- 스터디
- 백준고양이자바
- 자바수업
- cs지식
- java
- GUI
- 자바조건문
- 백준구구단
- 백준10171
- 화이자접종후기
- 백준10718자바
- 화이자1일차
- 코로나백신
- 자바토글버튼
- 백준 #백준알고리즘 #백준 Hello World #Hello World
- 백준고양이
- 백준2739
- 자바컴포넌트
- 자바이벤트
- 자바컨테이너
- Today
- Total
목록1일1로그 (7)
Salted Caramel

" 어떤 단위의 기수가 2라면 그 단위는 이진 숫자, 더 줄여서 비트bit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존 투키john Tukey 가 제안한 단어이다"- 클로드 쌔넌, 1948 컴퓨터디지털 처리 장치즉 컴퓨터는 불연속적인 덩어리로 입력받고, 불연속적인 값을 갖는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한다. 디지털 정보는 기본적으로 수에 불과아날로그 정보는 연속적으로 변하는 값을 뜻함 아날로그와 디지털아날로그analog -> 유사하다 analogous와 어원이 같음 아날로그다른 어떤 것이 변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하는 값 자동차 핸들처럼 운전할 때 방향을 살짝 바꾸고 싶다면 핸들을 조금 돌리면 된다. 즉, 조금씩 조정할 수 있다. 불연속적인 변화 단계가 없음 디지털 시스템은 불연속적인 값을 다룬다.가능한 값의 수가 정해져 ..
컴퓨터 하드웨어는 모든 종류의 디지털 하드웨어를 말함 집적회로의 발명을 시작으로 60년동안 기하급수적으로 성능이 향상 일정한 기간마다 회로는 꾸준히 특정 비율로 더 작아지거나 더 저렴해지거나 성능이 높아짐 약 18개월마다 특정한 크기의 집적회로에 들어갈 수 있는 소자의 수가 약 두배 -> 엄청난 성능 형상이 우리의 삶을 바꿔놓는 기지털 혁명의 주된 원인 하드웨어 성능의 향상은 우리가 현실적으로 무엇을 계산할 수 있는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만, 이론상 계산 가능한 것에는 놀랍게도 어떤 근본적인 변화도 일으키지 않음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일정한 크기의 집적회로에 들어갈 수 있는 트랜지스터의 수가 매년 대략 두배 트랜지스터의 수는 컴퓨팅 성능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 적어도 2년마다 컴퓨팅 성능이 두배로 증가 20년이 지나면 두배로 증가하는 일이 열번 부품의 수는 2^10배로 증가 = 약 1000배 40년 후 -> 100만배 이상 무어의 법칙 Moore’s Law 기하 급수적인 증가 양상 (거의 60년동안 진행) 회로의 규모를 특정 짓는 대표적인 척도로는 집적회로의 배선 폭 즉, 회로선 폭을 사용(feature size 피처 크기) 무어의 법칙은 자연의 법칙이 아니라 반도체 산업에서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일종의 가이드라인이다. 프로세서는 칩 하나에 프로세서 코어를 두개 이상 배치함으로써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활용 컴..
SD (Secure Digital) 카드논리 게이트(logic gate)- 기본 소자- 한개나 두개의 입력 값을 바탕으로 단일 출력 값을 계산 - 전압이나 전류 같은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전압이나 전류인 출력 신호를 제어트랜지스터 transistor- 회로 소자에서 핵심- 스위치(전압의 제어를 받아 전류를 켜거나 끄는 장치) 역할 집적회로 IC(integrated circuits)- 칩 chip- 마이크로칩 microchip- 모든 소자와 배선이 단일 평면(얇은 실리콘 판) 위에 들어가 있음 , 개별 부품과 재래식 전선이 없는 회로를 만들기 위해 일련의 복잡한 광학적, 화학적 공정을 거쳐 제조
주기억장치 RAM - 임의 접근 메모리 - 휘발성 보조기억장치 secondary storage - 하드 디스크, 하드 드라이브 - SSD (solid state drive) - 휘발성을 띄지 않아서 드라이브에 저장된 정보는 전력 공급이 없더라도 유지 - 데이터, 명령어, 다른 모든 정보는 보조 기억 장치에 장기간 저장되고, 주 기억 장치로는 일시적으로만 옮겨짐
컴퓨터 논리적(기능적 아키텍처) = 버스 bus 프로세서,주기억장치,보조기억장치 휴대전화, 태블릿pc 마우스, 키보드,디스플레이 => 화면 프로세서 - 산술 연산, 제어 기능 -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 장치) = 프로세서 - 컴퓨터의 두뇌 - 빠른 연산 - 독립적 작동 주기억장치, 보조기록장치 - 기억과 저장 - 현재 사용 중인 정보를 저장 - 저장된 정보의 내용은 프로세서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 - 현재 작업 중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프로세서가 그 데이터로 무엇을 해야하는디 알려주는 명령어도 저장 주기억장치 - RAM(random access memory 임의 접근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 디스크, 드라이브 키보드, 마우스, 디스플레이 - 운영자와 상호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