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cs지식
- 스터디
- 백준10171
- 화이자미열
- 코로나백신
- 1일1로그
- 백준10718자바
- 백준자바 #백준10718
- 백준 #백준알고리즘 #백준 Hello World #Hello World
- 포장방스터디
- 자바조건문
- 백준고양이자바
- 자바이벤트
- 자바컴포넌트
- 화이자백신후기
- 백준구구단
- 백준고양이
- 2739자바
- 자바
- 자바공부
- 자바토글버튼
- 자바화면구현
- 자바컨테이너
- 자바수업
- 컴퓨터공부
- 화이자1일차
- GUI
- 백준2739
- 화이자접종후기
- java
Archives
- Today
- Total
Salted Caramel
21.12.28 python 2 본문

.2f : 소수점 이하 두자리까지

location = ['서울시','경기도','인천시']
location.append('부산시')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부산시']
append: 맨마지막에 추가
location.insert(2,'포천시')
['서울시', '경기도', '포천시','인천시', '부산시']
insert: 중간에 추가
list 에서 삭제하는 방법 : remove(데이터)
포천시
location.remove('포천시')
location
1
location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부산시']
데이터 구조 - 리스트(list) : 가장 많이 사용됨(중요함)
리스트 변수
리스트 선언
리스트 변수 = [ ]
리스크 변수 = list()
리스트 변수 =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 n]
location = ['서울시','경기도','인천시']
location[1]
'경기도'
location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print(location)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list 에 추가하는 방법 : append(데이터) ==> 맨 마지막에 추가
location.append('부산시')
location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부산시']
list 중간에 추가하는 방법 : insert(인덱스 번호, '데이터')
location.insert(2,'포천시')
location
['서울시', '경기도', '포천시', '인천시', '부산시']
location[0:3]
['서울시', '경기도', '포천시']
list 에서 삭제하는 방법 : remove(데이터)
location.remove('포천시')
location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부산시']
list 는 모든 자료형 처리가 가능함.
location = ['서울시', '경기도',153,2.567,True]
location
['서울시', '경기도', 153, 2.567, True]
location = list()
location.append(input('도시명을 입력하세요 >>>'))
도시명을 입력하세요 >>>서울시
location
['서울시']
과제
처음 리스트 변수 데이터 ==> lang['java','c','c++']
리스트 함수를 활용해서 다음과 같이 리스트트 만들어 보세요
lang['java','c','c++','python']
lang = ['java','c','c++']
lang.append('python')
lang
['java', 'c', 'c++', 'python']
sort() : list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주는 함수 ==> 결과값이 바뀌게 됨
numbers.sort()
numbers
numbers
[5, 12, 53, 78, 91]
reverse() : list 데이터를 역순으로 정렬해 주는 함수
numbers.reverse()
numbers
numbers
[91, 78, 53, 12, 5]
sort: 오름차순 정렬
reverse : 내림차순 정렬
age = int(input('당신의 나이는? >>>'))
if(age >=19):
print('당신은 성인입니다.')
print('당신은 성인입니다.')
조건문인 경우 들여쓰기로 되어있을때 참일 때 실행됨.
조건문 안에 조건문
cash = int(input("현금은 얼마 있나요? >>> "))
if(cash > 100000) :
print("레스토랑에서 식사합니다.")
else :
if cash > 50000 :
print("일반 식당에 가서 식사합니다.")
else :
print("그냥 집에 가서 밥 먹읍시다 ㅠㅠ")
현금은 얼마 있나요? >>> 200
그냥 집에 가서 밥 먹읍시다 ㅠㅠ
반복문
형식) for 변수 in(리스트 or 문자열) :
실행문
형식) for 변수 in range(n) :
실행문
n 값은 n-1 까지 범위로 설정
data_list = ['list1','list2','list3']
data_list
data_list
['list1', 'list2', 'list3']
print(data_list[0])
print(data_list[1])
print(data_list[2])
list1
list2
list3
for data in data_list :
print(data)
list1
list2
list3
range(10
for index in range(10) :
print(index)
0
1
2
3
4
5
6
7
8
9
1부터 10까지 화면에 출력해 보세요
for i in range(1, 11) :
print(i)
1
2
3
4
5
6
7
8
9
10
1부터 10까지의 합을 구해 보시오
sum
sum = 0
for index in range(1,11) :
sum = sum +index
print ("1부터 10까지의 합 >>>" , sum)
1부터 10까지의 합 >>> 55
문제
1부터 100까지 홀수의 합과 짝수의 합을 구해 보시오
odd_sum = 0
even_sum = 0
for i in range(1,101) :
if i%2 ==1 :
odd_sum = odd_sum+i
else :
even_sum = even_sum+i
print("1부터 100까지의 홀수의 합 >>> ", odd_sum)
print("1부터 100까지의 짝수의 합 >>> ", even_sum)
1부터 100까지의 홀수의 합 >>> 2500
1부터 100까지의 짝수의 합 >>> 2550
'coding > [2021.08.02~2022.01.24] 수업복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1.04 python4/ 크롤링 (0) | 2022.01.04 |
---|---|
21.12.29 python03 (0) | 2021.12.29 |
21.12.27 Python1 (0) | 2021.12.27 |
[수업 87일차] 21.12.13 /Spring 3/ 한글 인코딩 처리/03_MVC01 (0) | 2021.12.21 |
[수업 88일차] 21.12.14 /Spring 4/ 04_MVC02/ 05_MVC03/ Spring 에서 바로 jsp 파일로 접근이 안되는 이유/root-context.xml/spring jdbctemplate (0) | 2021.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