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1로그
005 50년 넘게 유지된 무어의 법칙
꽃무늬라떼
2024. 5. 9. 00:07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일정한 크기의 집적회로에 들어갈 수 있는 트랜지스터의 수가 매년 대략 두배
트랜지스터의 수는 컴퓨팅 성능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
적어도 2년마다 컴퓨팅 성능이 두배로 증가
20년이 지나면 두배로 증가하는 일이 열번
부품의 수는 2^10배로 증가 = 약 1000배
40년 후 -> 100만배 이상
무어의 법칙 Moore’s Law
기하 급수적인 증가 양상 (거의 60년동안 진행)
회로의 규모를 특정 짓는 대표적인 척도로는 집적회로의 배선 폭
즉, 회로선 폭을 사용(feature size 피처 크기)
무어의 법칙은 자연의 법칙이 아니라 반도체 산업에서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일종의 가이드라인이다.
프로세서는 칩 하나에 프로세서 코어를 두개 이상 배치함으로써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활용
컴퓨터 시스템에는 흔히 프로세서 팀이 여러개 적용
-> 개별 코어의 실행 속도가 빨라진다기보다는 장착 가능한 코아의 개수가 늘면서 성능이 향상
킬로 killo
1000을 의미 , ‘K’ 로 축약